티스토리

cho/de
검색하기

블로그 홈

cho/de

choochode.tistory.com/m

2초초2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AWS 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초 지식 IP 주소 : 인터넷 공간에서 PC가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자 IPv4 주소 : 총 32비트(0.0.0.0 ~ 255.255.255.255)로 구성된 주소 체계 사용이 제한된 특수 IPv4 주소 Network Address Host Address 주소 유형 목적 모두 0 모두 0 컴퓨터 자신 부트스트랩 용 모두 0 호스트 해당 네트워크의 호스트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호스트 식별 네트워크 모두 0 네트워크 네트워크 식별 네트워크 모두 1 방향적 방송 지정 네트워크 방송 모두 1 모두 1 제한된 방송 지역 네트워크 방송 127 임의의 값 loopback 테스트 용 10 호스트 A 클래스용 사설 주소 사설망 내부에서 사용 172.16 ~ 172.31 호스트 B 클래스용 사설 주소 사설망 내부에서 사..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4. 3.
  • S3 S3(Simple Storage Service)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객체: 텍스트 파일, 음성 파일과 같은 데이터 스토리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객체 스토리지: 기존의 파일 스토리지처럼 폴더 구조를 갖지 않고, 객체 키로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해 데이터의 입출력과 관리를 수행함 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 가능 S3의 특징 용량의 제한이 없음 : 객체당 5TB의 제약이 있지만, 객체의 수나 데이터 전체 용량에는 제한이 없음 내구성이 높음 :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3개 이상의 가용 영역(AZ)로 복사됨 : 복사를 통해 내구성을 높여 줌 비용이 저렴함 : 서울 리전을 기준으로 1개월 당 0.025USD/GB 버전 관리 기능을 보유함 : 버전 관리 기능을 활..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3.
  • EC2 EC2(Elastic Compute Cloud) 가상 서버를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가상 머신을 선택할 때 OS를 함께 설치하므로 가상 머신 사용 준비가 완료되면 바로 OS 사용 가능 CPU나 메모리와 같은 서버의 사양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머신을 생성한 후에도 변경(확장)할 수 있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의 용량도 쉽게 변경할 수 있음 자원의 변경이나 삭제가 용이하므로 부담 없이 서버를 생성해 테스트할 수 있고, 여러 AZ에 배치해 가용성을 확보하는 설정도 할 수 있음 인스턴스 EC2가 가상 서버를 관리하는 단위 EC2 생성 생성 시 선택 사항 - Amazon 머신 이미지(AMI) - 인스턴스 사양 (인스턴스 유형) - 배포할 네트워크 - 데이터를 저장할 스토리지 용량 - 사용 권한..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3.
  • 서버 기초 지식 서버란? 서버: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웹 사이트와 웹 브라우저의 경우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컴퓨터가 서버,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 웹 사이트는 특정 페이지의 URL을 지정해 요청을 전송하고, 웹 서버가 URL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응답으로 반환 대표적인 서버 유형 웹 서버 웹 페이지 자체의 구조를 만드는 HTML 파일과 디자인을 정의하는 CSS 파일, 사이트에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 등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서버 AWS에서 웹 서버를 구축하는 경우 EC2, ECS로 구현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스템이 취급하는 데..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AWS 기본 개념 AWS 글로벌 인프라 리전(region)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 한 개의 AWS 리전은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으로 구성 대부분의 AWS 서비스는 리전을 선택해서 시작 세계 각지에 리전이 존재하면 생기는 장점 - 세계 각지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글로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통신 지연을 줄일 수 있음 - 법적 요구 사항으로 특정 국가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특정 리전을 사용해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음 - 특정 리전에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해도 다른 리전에서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음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 한 개의 리전은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 가용 영역끼리는 물리적..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클라우드의 서비스 제공 형태 SaaS(Software as a Service)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 대표: Gmail, Dropbox, Office365, Zoom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까지 제공하는 형태 OS가 설치된 서버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사용함 임대 서버가 이에 해당함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를 제공하는 형태 네트워크, 서버 머신 등을 제공 Saas PaaS IaaS 제공 형태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플랫폼(OS) 플랫폼(OS) 인프라(하드웨어) 인프라(하드웨어) 인프라(하드웨어) Eaas(Everything as a Service)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제공하는 서비스 AWS는 EaaS에 속함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가상화와 분산 처리 가상화 : 물리적인 메모리, 하드디스크, OS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는 것 가상화를 통한 복제 가상 서버에 할당된 메모리와 스토리지는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지만, 서버의 성능을 올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 서버에 부하가 발생할 때 서버의 대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함 소프트웨어처럼 서버를 구축하기 때문에 서버 복제가 쉽고 대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용이함 분산 처리와 로드 밸런서 분산 처리: 기기 여러 대에 분산하여 처리하는 방법 같은 기능이나 정보를 가진 서버 여러 대에 분배하여 처리하여 서버 1대의 부담을 줄이고, 서버가 응답할 수 없거나 다운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음 로드 밸런서: 서버 여러 대에 분산하는 장치 AWS에서는 로드 밸런서로 ELB를 제공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란?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한 환경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인터넷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나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로컬 환경에 저장하는 것처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함 클라우드 환경은 스스로 만들 수 있고, 빌릴 수도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중에서도 서버 및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체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 대표: AWS(아마존 웹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플라우드 플랫폼 등 클라우드에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는 서비스나 이를 사용하는 것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서버나 인프라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음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등 물리적인 설비를 직접 보유할 필요가 없음 온프레미스 : 자사가 서버 등을 구축하는 것 온프레미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AWS의 대표서비스 EC2(Elastic Compute Cloud)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OS, 소프트웨어 등을 세트로 사용할 수 있음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미 세팅된 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 성능은 가변적이며 일시 정지 중에는 언제든 성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음 S3(Simple Storage Service)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 웹 서버 및 파일 서버용 파일을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할 수 있음 장애 및 에러에 강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는 기능도 갖춤 파일 크기는 최대 5TB, 전체 용량은 제한이 없음 VPN 계정 전용의 가상 네트워크 네트워크 및 서브넷의 범위,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하고, 가상 네트워크 환경 구성 RDS..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아마존 웹 서비스의 정의 AWS(Amazon Web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하나 서버 및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으로 빌려주는 서비스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조합해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음 아마존 웹 서비스의 특징 여러 사업자에게 각각 빌려야 했던 인프라를 일괄로 빌려서 사용할 수 있음 : 운영 체제(OS),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DB 서버) 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까지 통째로 사용할 수 있음 서비스를 조합할 수 있음 :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어떠한 서비스를 구축할 때 AWS가 제공하는 서비스만으로 필요한 기능을 대부분 구축할 수 있음 사용한 만큼만 빌릴 수 있음 : 요금제의 기본 형태가 종량제의 형태 : 필요한 만큼만 빌릴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됨 글로벌 확장이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 2개의 인스턴스 연동 요구 조건 : EC2 인스턴스 두 개를 생성하여 첫 번째 인스턴스에는 React, SpringBoot 앱을, 두 번째 인스턴스에는 MySQL 데이터베이스 실행 네트워크 설정 1. VPC(Virtual Private Cloud) 생성 EC2 인스턴스를 비롯한 여러 AWS 서비스의 리소스를 담을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 연속적인 IP 주소 범위로 구성 → CIDR 블록으로 표기 → 네트워크와 호스트 ID를 구분 2. 서브넷(Subnet) 설정 VPC 내의 논리적인 구분 -> 인스턴스를 서로 격리하고, 인스턴스 간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고, 인스턴스를 기능별로 묶는 역할 EC2 인스턴스를 배치하는 장소 -> 인스턴스는 서브넷 안에 위치 서브넷은 하나의 가용영역(AZ) 내에서만 존재할 수 있음 퍼블릭 서브넷: 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