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기본 개념

    AWS 글로벌 인프라

    리전(region)

    •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
    • 한 개의 AWS 리전은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으로 구성
    • 대부분의 AWS 서비스는 리전을 선택해서 시작

     

    세계 각지에 리전이 존재하면 생기는 장점

    - 세계 각지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글로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통신 지연을 줄일 수 있음
    - 법적 요구 사항으로 특정 국가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특정 리전을 사용해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음
    - 특정 리전에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해도 다른 리전에서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음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 하나 이상의 개별 데이터 센터
    • 한 개의 리전은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
    • 가용 영역끼리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됨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 콘텐츠를 캐싱해 사용자에게 더 짧은 지연 시간으로 콘텐츠를 전송
    • 전세계 300개 이상의 엣지 로케이션이 존재

    AWS IAM

    • AWS 서비스 및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와 ID를 안전하게 관리
    • 사용자, 그룹, 역할, 정책으로 구성됨
    • 리전에 속하는 서비스가 아닌 글로벌 서비스

    보안 강화를 위한 IAM 보안 모범 사례

    - 루트 계정(AWS 회원 가입 시 만들어지는 계정)은 최초 사용자 계정 생성 이후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 것
    - 사용자 계정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고, 사용자는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 (최소 권한의 원칙)
    - 루트 계정과 개별 사용자 계정에 강력한 암호 정책과 멀티팩터 인증(MFA) 적용

    사용자(user)

    • AWS의 기능과 자원을 이용하는 객체
    • 사람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그룹(user group)

    • 여러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 만든 개념
    • 여러 사용자에게 일관된 권한 정책을 쉽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

     

    권한

    • AWS의 서비스나 자원에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명시한 규칙

     

    정책(policy)

    • 권한의 모음으로 사용자, 사용자 그룹, 역할에 적용이 가능함
    • JSON 형식의 문서로 구성됨
    • 사용자, 사용자 그룹, 역할에 권한을 직접 적용할 수 있고, 정책을 생성한 후 적용해야 함

     

    정책을 정의하는 방법

    • 작업(Action): 사용자가 허용하는 AWS 서비스 작업
    • 리소스(Resource):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WS 리소스
    • 효과(Effect): 액세스를 허용할지, 거부할지 여부를 설정
    • 조건(Condition): 정책이 적용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Resource": "*", 
    				"Action": "*", 
    				"Effect": "Allow"
    			}
    		]
    	}

     

    역할(role)

    • 어떤 행위를 하는 객체에게 여러 정책을 적용한다는 점에서는 사용자와 비슷하지만, 객체가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나 다른 AWS 계정의 사용자라는 차이가 있음
    • 사용자가 아닌 특정 서비스에서 생성한 객체와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사용

    '클라우드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0) 2023.04.03
    서버 기초 지식  (0) 2023.04.02
    클라우드의 서비스 제공 형태  (0) 2023.04.02
    가상화와 분산 처리  (0) 2023.04.02
    클라우드 컴퓨팅  (0) 2023.04.02

    댓글